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실리카 겔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세 == 수용액 상태에서는 수용액에 미세한 산화규소 입자가 떠있는 겔 형태인데 이걸 건조시키면 액체는 증발하고 산화규소 입자만 남는다. 그게 우리가 아는 매끈하고 단단한 실리카 겔이다. 그 증발한 액체가 있던 원래 공간은 텅 비게 되어 xerogel이 되며 공극률이 높아진다. 유리의 주성분인 산화규소 분자가 초미세 그물 모양 구조를 이루어 입자 사이에 많은 구멍과 공간이 생긴다. 즉 눈에는 매끈한 유리알처럼 보이지만 실은 스펀지처럼 나노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뻥뻥 나있는 구조. 말하자면 초미세 유리 스펀지. 이 때문에 1그램 당 테니스 코트의 3배 정도인 약 800m^^2^^의 매우 넓은 표면적을 지녀 수분이나 작은 분자들을 흡착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물 등의 용매를 잘 빨아들인다. 넓은 표면으로 공기중의 물분자나 그 외 물질을 흡착하고 입자 사이의 공간에 가두어서 흡습이 가능하다. 물분자가 실리카겔에 흡수되거나 결정수가 되는 게 아니라 단지 입자 표면에 들러붙을 뿐이라 '''흡착'''(adsorption)이다. 흡습ㆍ건조제로 사용하기도 하고 [[화학]] [[실험]]에서의 흡착제나 특정 물질의 벡터로도 사용된다. 주성분은 유리나 돌가루나 마찬가지인 산화규소라 인체와 잘 반응하지 않아 먹어도 무해하다. 비슷한 물질로 탈취제로 널리 쓰이는 [[제올라이트]]나 흡수제로 쓰이는 [[규조토]]가 있다. 또한 탄소덩어리인 [[활성탄]]은 다공성이라 정수기의 필터로 사용된다. 일상생활에서는 조미[[김(음식)|김]]이나 [[쥐포]] 같은 건어물과 동봉된 [[흡습제]]로 주로 볼 수 있다. 속포장지에는 어김없이 '''인체에는 무해하나 먹지 마십시오'''[* 보통 체내로 흡수 되더라도 기관에서 흡수 되거나 반응하지 않고 분비물로 배설되는 물질에 표기되기는 하지만, 이는 말하면 '이론상' 그렇다는 것이고 '먹지 말라'는 뜻은 '''(약제나 식품 등이 아니므로) 임상실험 한 적이 없다'''는 뜻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간단히 말해 대형 전자제품 구매 시 포장 비닐에 써 있는 '본 비닐은 인체에 무해하나 질식의 위험이 있으므로 어린이의 손에 닿게 하지 마십시오' 같은 류의 경고 문구일 뿐이다.][* 유사한 사례로 분무형 살충제가 있다. 캔에는 인체에 무해하나 흡입하지 말라고 써 있다. 마찬가지로 '흡입하지 말라'라는 뜻은 '''이론상 인체에 무해지만 임상실험해 본 적은 없는 성분'''이라는 뜻이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고 그 강렬한 임팩트 때문에 이 물질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김은 일본 등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지라 위의 예처럼 3~4개국어로 적혀 있다. 흡습제답게 혀에 닿는 즉시 혀의 침을 순간적으로 흡수하며 혀에 달라붙는데, 침이 고이면 이내 떨어진다. 씹어서 깨트리면 버스럭 버스럭 거리는 것이 모래를 씹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식감이 느껴진다. [[파일:external/www.dynamicaqua.com/DR2.jpg]] [[파일:external/proscitech.com/C81.jpg]] 일반적으로 실리카 겔은 완전 투명하게 나오지만 일부 실리카 겔은 지시제 용도로 색이 들어 있다. 흡습 능력이 떨어지면 색이 변해서 교체할 시기를 알려주는 것인데, 파란색 실리카 겔은 분홍색으로 변하고, 오렌지색 실리카 겔은 노란색, 연두색을 거쳐 암록색으로 변한다.[* 파란색 실리카 겔은 이염화 코발트를, 오렌지색 실리카 겔은 메틸 바이올렛을 사용한다.] 흡습제 작은 것 한 봉지가 있으면, 한 5알 정도만 이런 색이 들어있는 실리카 겔이 들어있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파란색을 띠는 실리카 겔은 앞의 주석에서 설명한 대로 이염화 코발트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게 [[발암물질]]이라 유럽에서는 판매금지가 되었다. 그래서 당연히 먹으면 절대 안된다. 그래서 지시제로 다른 물질을 사용한 오렌지색 실리카 겔도 있다. 어떤 기업에서 [[http://www.kukdongchemical.com/product/neoblue.php|이염화 코발트 대신 다른 물질을 쓴 실리카 겔]]을 만든 것 같은데 개인이 구하기는 힘든 것 같다. 각종 물질을 잘 흡착하는 성질을 이용해 화학에서는 여러 혼합물을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정지상 [[크로마토그래피]]의 매질로도 사용되고 고양이 화장실용 모래나 가루형 식품이 뭉쳐서 떡지지 않게 하는 식품의 첨가제, 정수기 흡착 필터, 침수/습기 감지제, [[돌비현상]]을 막는 끓임쪽 등으로 쓰인다. 제조상의 공정 때문에 약산성을 띄는 경우가 있다. 제대로 세정하면 중성이 되지만 세정 공정이 늘어나면 비용이 증가하기에 적당히 약산성 수준에서 멈추는 경우도 많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